 |
12일 경북 경주 남남서쪽 9km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5.1과 5.8 규모의 지진으로 경주의 한 초등학교 운동장에 주민들이 대피해 모여 있다./사진=뉴스1 |
교육부가 학교 내진설계 보강 사업을 위한 예산을 2000억원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한 체험 중심의 재난대비 교육센터도 단계적으로 늘릴 계획이다.
교육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진 피해 현황 및 향후 조치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교육부는 민관합동점검단과 시·도교육청 자체 점검단을 구성해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현장 점검을 실시한다. 또 9월 말까지 피해 시설에 대한 복구계획을 수립하고 내진보강을 포함한 피해복구에 재해대책수요 특별교부금을 즉시 지원할 계획이다.
학교시설 내진보강 사업 완료를 위해 내년부터는 예산 지원을 연간 2000억원 수준으로 대폭 확대한다. 올해 예산은 637억원에 불과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재해 상황 후 복구에만 사용가능했던 `재해대책수요 특별교부금`을 예방 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내진보강 사업 관련 교육환경 개선비를 대폭 확대해 학교 시설의 내진보강 사업 완료에 소요되는 총 기간을 현재 67년에서 약 20년으로 단축하겠다"고 말했다.
학생과 교원에 대한 체험 중심의 재난대비 교육·훈련도 강화한다. 교육부는 다음달까지 유치원을 포함한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지진 등 재난대비 계기교육’을 실시한다. 또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현장점검과 컨설팅을 11월까지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재난 발생 시 교원 및 학생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재난 시 행동요령’ 자료 비치가 오는 11월까지 의무화된다. 체험 기관도 늘어난다. 교육부는 내년까지 △안전체험관(9개→10개) △안전체험버스(8대→10대) △소규모 안전체험시설(6개→14개) △안전체험교실(14→34개) 등을 확대·보급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지진 피해지역에 대해 신속한 복구가 이루어지도록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할 계획이고 앞으로 실전 대응훈련을 강화해 교원과 학생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정책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18일 저녁 6시 기준으로 부산, 대구, 울산, 전남, 경북, 경남 등지의 학교와 소속기관 235개 시설물에서 벽체 균열, 천정 마감재 탈락, 조명등 추락 등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총 37개교는 등·하교시간 조정이나 휴업 조치를 취했다.
링크: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91913580156522&outlink=1